스톡데일 패러독스라는 말이 있다. 스톡데일은 베트남전쟁때 월맹군의 포로로 잡혀 그 당시 포로로 있는 많은 미국인들의 사기를 높이고 월맹군과의 교섭에 성공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많은 미국인들을 살아남게 만든 전쟁영웅이다. 스톡데일장군은 전쟁이 끝난 뒤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. "낙관론자들은 모두 죽었다. 현실주의자만이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."라고.. 이 이론이 스톡데일 패러독스이다.
즉, 전쟁포로들 중 낙관론자는 '이번 크리스마스때는 풀려날 것이다.' '이번 부활절에는 풀려날 것이다.'라고 단기적인 낙관을 하지만 그것이 현실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현실주의자보다 더 큰 좌절감에 빠져서 실수를 하게 되고 그 실수가 자신을 죽음으로 내몰았다고 한다. 하지만 현실주의자는 상황은 냉정하게 바라보지만 자신이 살아 나갈 수 있다는 믿음만은 확고 했다고 한다.
이 스톡데일 패러독스론이 나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? 단기적인 낙관만큼 사기진작에 도움되는 것은 없다. 하지만 인생은 오르막보단 내리막이 많다고 한다. 낙관이 실망으로 계속해서 바뀐다면 그 사람은 스스로 지쳐서 쓰러져 버릴 것이다.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보며 쓰러질 때에도 실망하지 않고 나는 잘 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는 것이 정답인 것 같다.
암호화
암호를 해제하였습니다.
암호화
암호해제를 실패하였습니다.
2011-11-18
조회 : 300
댓글 : 2
푸른지성
2011-11-18 15:40:15
전 현실주의자 같아요..
비버
2011-11-18 16:56:24
부정적인 시선이 언제나 나쁜건 아니죠ㅎㅎㅎ 근거없는 낙관론이 오히려 훨씬더 위험해요. 좋은글 보고 갑니다
긍정적 사고.. 무조건 긍정적 사고만 한다면 만사형통한 것일까?
스톡데일 패러독스라는 말이 있다. 스톡데일은 베트남전쟁때 월맹군의 포로로 잡혀 그 당시 포로로 있는 많은 미국인들의 사기를 높이고 월맹군과의 교섭에 성공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많은 미국인들을 살아남게 만든 전쟁영웅이다. 스톡데일장군은 전쟁이 끝난 뒤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. "낙관론자들은 모두 죽었다. 현실주의자만이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."라고.. 이 이론이 스톡데일 패러독스이다.
즉, 전쟁포로들 중 낙관론자는 '이번 크리스마스때는 풀려날 것이다.' '이번 부활절에는 풀려날 것이다.'라고 단기적인 낙관을 하지만 그것이 현실이 되지 않았을 때에는 현실주의자보다 더 큰 좌절감에 빠져서 실수를 하게 되고 그 실수가 자신을 죽음으로 내몰았다고 한다. 하지만 현실주의자는 상황은 냉정하게 바라보지만 자신이 살아 나갈 수 있다는 믿음만은 확고 했다고 한다.
이 스톡데일 패러독스론이 나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? 단기적인 낙관만큼 사기진작에 도움되는 것은 없다. 하지만 인생은 오르막보단 내리막이 많다고 한다. 낙관이 실망으로 계속해서 바뀐다면 그 사람은 스스로 지쳐서 쓰러져 버릴 것이다.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보며 쓰러질 때에도 실망하지 않고 나는 잘 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는 것이 정답인 것 같다.